
자동차 배터리는 자동차의 심장이라고 불릴만큼 중요한 부품입니다. 시동을 걸고 전자 장치를 구동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이런 것을 간과하고 배터리 관리를 소홀히 하여 예상치 못하게 방전이나 교체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자동차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바로 실천할 수 있는 몇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수명 늘리는 방법
1. 정기적으로 주행하여 배터리 충전 유지
배터리는 충전식 부품이기 때문에 일정 주행이 필요합니다. 장기간 주행을 하지 않거나 단거리만 계속해서 주행을 한다면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지 못하여 배터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최소 주 1~2회 정도 운전을 해주시고 30분 이상 주행하기를 추천드리며 장기 주차시에는 배터리 단자를 분리하거나 보초 충전기를 사용하기만 해도 배터리 수명을 1~2년은 더 늘릴 수 있습니다.
2. 불필요한 전자창치 줄이기
시동이 꺼진 상태로 라이트나 블랙박스, 오디오 등을 켜 두는 것은 배터리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블랙박스 상시 녹화의 경우 장시간 주차 시에는 방전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이 되게 됩니다.
주차 모드 대신 이벤트 녹화 모드를 사용하고 실내등, 비상등 등은 시동 전에는 반드시 꺼져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3. 극한 온도 (고온,저온)의 환경 피하기
배터리는 온도에 굉장히 민감합니다. 여름철 고온의 경우 전해액 증발을 하고 겨울철 한파는 전류 흐름을 저하시키게 됩니다.
여름철에는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진 곳에 주차를 하고 겨울에는 실내 주차장을 이용하거나 시동 전 예열을 해주셔야합니다. 또한 장기 주차시에는 배터리 단자를 분리하여 방전을 방지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기온 변화가 큰 계절에는 배터리 점검 주기를 짧게 가주셔야 됩니다.
4. 정기적 배터리 점검 및 단자 청소
배터리 단자에 먼지가 쌓이면 전류의 흐름이 방해가 되어 충전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시동이 잘 걸리지 않거나 전압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배터리를 점검하기 하기 위해 시동을 끈 후 장갑을 착용하여 단자를 분리하고 베이킹 소다와 물을 혼합하여 부식을 제거합니다. 그리고 완전히 건조 후 단자 보호제를 도포하여 마무리 합니다. 또한 정비소 방문 시 전압 점검을 요청하여 충전 상태가 12.5~13,8v 범위 인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
5. 배터리 수명 확인 및 교체 시기 체크
일반적인 배터리 수명은 약 3~5년 사이입니다. 하지만 운전 습관이나 환경, 관리 상태에 따라 기간이 크게 달라지기도 합니다. 배터리의 교체 시기는 이상증세가 보인다면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동이 느리게 걸리고 라이트 밝기가 불안정 하거나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 전원이 오류가 발생한다면 교체를 권합니다.
최근에는 OBD 단자 연결형 배터리 모니터링 기기를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는 관리만 잘해도 충분히 오래 쓸 수 있는 부품입니다. 정기적인 관리, 주행습관 개선, 전자장치 사용만 절제하고 잘 쓴다면 배터리 교체 주기를 크게 늘릴 수 있습니다.